40평 아파트 인테리어
40평대 아파트 인테리어 시공 후 하자 체크리스트 – 직접 점검한 20가지 항목 공유
slow-tour
2025. 7. 30. 21:17
실입주자가 실제 확인한 항목 위주로 정리한 리모델링 하자 점검 가이드
인테리어 공사가 끝났다고 해서 바로 입주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공사가 끝난 그 순간부터 시작되는 것이 바로 하자 점검입니다.
리모델링 후 입주를 준비하며, 저는 시공사와 함께 하자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직접 20가지 항목을 점검했고,
그 과정에서 예상 못 한 오류나 보완이 필요한 부분도 여러 건 발견했습니다.
하자 점검을 건너뛰거나 대충 넘기면,
실제로 살아가면서 불편하거나 A/S 요청 타이밍을 놓쳐
유상 수리로 이어지는 사례도 흔합니다.
이 글에서는 인테리어 완료 후 입주 전, 실입주자가 직접 체크한 하자 항목 20가지를
- 실제 시공 경험
- 공간별 항목 정리
- 확인 요령
을 기준으로 상세히 정리했습니다.
입주 예정자라면 반드시 이 글을 저장해두시길 추천드립니다.
왜 하자 점검은 꼭 해야 할까?
- 인테리어 업체가 놓치거나 미처 확인하지 못한 디테일한 부분을 입주자가 직접 점검할 수 있음
- A/S 보증기간 내 수리 가능 → 무상 처리 가능
- 가구/가전 설치 전, 하자를 수정해 두면 추후 분해·재시공 필요 없음
- 청소 및 입주 전에 끝내야 생활 불편 최소화
시공 후 하자 체크리스트 – 직접 점검한 20가지 항목
전체 공간 공통
- 문 여닫힘/잠금 이상 여부
- 몰딩 마감 이음새 들뜸, 단차 확인
- 걸레받이 부착 상태 & 실리콘 마감 확인
- 도어락 정상 작동 여부 (비밀번호/열림감도)
- 도어 및 손잡이 흔들림 여부
전기·조명
- 조명 스위치 정상 작동 여부
- 콘센트 전원 체크 (테스터기 or 휴대폰 충전기로 확인)
- 인터폰 연동 작동 상태 확인
- 천장 매입등 깔끔하게 매립됐는지 확인 (틈새 없음?)
- 간접등 깜빡임, 색온도 이상 없는지
창호·유리
- 샷시 여닫힘 & 락 기능 작동 확인
- 창문 실리콘 마감 & 방수 상태 확인
- 방충망 밀착 및 이탈 여부
- 이중창 사이 이물질/먼지 유입 여부
욕실
- 수전 작동 상태 (온수/냉수 전환, 수압)
- 배수구 물 빠짐 테스트 (물 고임 없음?)
- 거울, 세면대, 욕조 실리콘 마감 상태
- 휴젠트 환풍기 작동 확인 (소음, 흡입력)
- 타일 균열, 오염 여부 확인
마감자재/가구
- 붙박이장, 싱크대 서랍 여닫힘 이상 여부
→ 부자재 나사 풀림 / 경첩 소리 확인 필수
하자 점검, 이런 방식으로 진행하세요
체크 방법 설명
① 체크리스트 작성 | 공간별로 사전에 항목을 정리해두세요 |
② 인테리어 업체 입회 요청 | A/S가 필요한 항목은 즉시 공유 |
③ 전기테스터기 준비 | 콘센트, 조명 작동 여부 직접 점검 가능 |
④ 사진 및 영상 촬영 | 문제가 있던 부분은 A/S 전후 비교 용이 |
* 실제로 저는 뒷주방 씽크대 사이즈 문제를 점검하면서 발견했고,
현장에서 바로 A/S 요청해서 문제를 빠르게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시공 후 하자 점검, 언제 하면 좋을까?
- 인테리어 공사가 완전히 종료된 후 (실리콘, 도장 건조까지 포함)
- 입주청소 전에
- 가전 설치, 가구 배치 전에
* 주의: 입주 후에 하자가 발견되면
생활 물품 이동 → 분해 재시공 → A/S 지연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