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테리어 공사를 계획할 때 가장 많이 놓치는 부분은 ‘시간’입니다. 예상보다 오래 걸린다는 말은 익히 들었지만, 막상 내 집이 공사 기간을 넘기게 되면 그 스트레스는 매우 큽니다. 우리 집은 동네에서 오랫동안 시공을 해온 인테리어 업체를 선택했고, 결과적으로 시공 품질이나 A/S 모두 만족스러웠지만, 공사 중간에 몇 가지 일정이 밀리는 일이 있었습니다. 처음부터 스케줄을 철저하게 관리하고 싶다면, 내가 실제로 겪은 공사 지연의 원인과 해결 과정을 참고해보길 바랍니다.
공사 일정이 늘어나는 원인은 다양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지연은 디자인 변경, 자재 수급 지연, 현장 상황 미확인 등 준비 단계의 부족에서 시작된다. 우리집도 처음엔 ‘빠르게 끝낼 수 있겠지’라고 생각했지만, 일정이 꼬이는 건 순식간이었다.
– 현장에서 싱크대 옆에 가벽을 추가하려다 설계 변경
– 그에 따른 타일/마감재 수급 지연 발생
– 냉장고, 식기세척기 설치 공간이 오차 있었고
– 다시 맞추느라 가구 제작 일정 밀림
– 욕실 방수층이 오래되어 철거 시간 예정보다 늘어남
– 배관 위치가 예상과 달라 재시공
– 콘센트 위치 변경을 시공 중 요청하면서 전기공사 일정 재조정
– 시스템 에어컨 배선과 간섭 발생
– 공사 마감 전에 가전 설치 기사 도착 → 작업 중단
– 입주청소도 시공 완료 전 방문으로 스케줄 엉킴
– 각 공정별 일정표가 없는 업체는 위험
– 공정표가 있으면 중간 점검 가능
– 타일, 조명, 씽크대 등 자재 입고 시점 체크
– 제작 상품은 2~3주 이상 걸릴 수 있음
– 매일 현장에 갈 수 없다면 중간마다 현장 사진 요청
– 틀어진 부분은 빠르게 수정 요청 가능
– 마감 이후 여유롭게 잡아야 재시공 시 충돌 방지
– 겹치면 결국 청소·설치 둘 다 제대로 못함
– 철거 중 돌발 상황, 자재 불량 등은 100% 생김
– 공사 마감일 바로 다음날 이사 일정은 금지!
우리 집은 동네 인테리어 업체 중 해당 아파트에서 시공 경험이 많은 업체를 선정했다.
업체 대표가 구조나 배관 위치, 기존 설계까지 잘 알고 있어서 공사 중간 조율이 빠르게 이뤄졌고,
A/S나 사후관리도 신속했다.
대형 브랜드보다 일정 조정이 유연해서 결과적으로 일정 지연을 어느 정도 흡수할 수 있었다.
인테리어 공사 일정은 ‘나만 제대로 하면 되겠지’가 절대 아니다.
디자이너, 시공팀, 가전기사, 입주청소, 택배까지 수많은 일정이 한 집 안에서 얽히기 때문에
한 번 틀어지면 연쇄 지연이 발생하기 쉽다.
우리 집처럼 일정 지연으로 스트레스를 겪고 싶지 않다면,
공사 전부터 체크리스트를 꼼꼼히 작성하고 공정표를 기준으로 스케줄을 관리하길 추천한다.
일정이 조금 변경될 수는 있어도, 예측 가능한 지연은 마음의 여유를 가져다준다.
40평 아파트 인테리어 실제 시공 경험을 바탕으로 도장 VS 벽지 마감 – 실물 비교와 선택 기준 (0) | 2025.07.26 |
---|---|
40평대 아파트 인테리어 설계도면, 어떻게 봐야 할까? 실사용자 관점에서 꼭 알아야 할 해석법과 실수 방지 팁 (0) | 2025.07.26 |
로봇청소기 효돌이 자리 찾기|40평대 아파트 인테리어의 숨은 하이라이트 (0) | 2025.07.25 |
40평대 아파트 인테리어 공사 전 체크리스트 15가지 – 실입주자 경험담 (0) | 2025.07.24 |
40평대 아파트 인테리어|조명 시공 후기 : 깔끔함과 분위기를 모두 잡다 (0) | 2025.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