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테리어는 겉모습만 멋지면 끝일까요?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아름다운 마감 뒤에는 전기, 통신, 배관 등의 보이지 않는 설계가 핵심이 됩니다.
실제로 저희 집은 40평대 아파트 전체 인테리어를 진행하며
에어컨 배관 문제부터 시작해, 콘센트, 인터넷선, TV선 위치까지
하나하나 신중하게 설계하지 않았다면
일상생활에서 불편함이 상당했을 것입니다.
특히 처음엔 삼성 시스템 에어컨 6대를 설치하려 했다가
설비 구조 문제로 중도에 LG 제품으로 전환하게 되었고,
배관 및 단차 시공까지 재조정하면서 큰 시행착오를 겪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기·배선 계획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숨은 포인트를
실제 입주자의 생생한 사례를 바탕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처음에는 모든 가전을 삼성으로 통일하려고 삼성 시스템 에어컨 6대를 계약했습니다.
하지만 설비팀 사전답사에서 우리집 구조상 삼성 제품 배관이 지나가기 어렵다는 판단을 받았습니다.
배관 구조, 단차 공간, 실외기 설치 가능 위치 등이 모두 제약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결국 LG 시스템 에어컨으로 전환하고 나서야 구조적으로 문제가 해결됐고,
지금은 실외기 1대로 거실·주방·안방·작은방 3곳까지 모두 쾌적하게 냉방되고 있습니다.
다만 이 과정에서 천장 단내림 시공과 배관 노선 재설정이 필요했기 때문에
설계 단계부터 전문 시공사와 함께 충분한 검토가 필수입니다.
Tip: 시스템 에어컨 설치 전에는 반드시 설비팀의 사전 실측을 받고,
실외기 공간, 배관 동선, 배수 문제까지 사전 체크하세요!
콘센트는 많을수록 좋다는 말도 있지만,
무작정 늘리기보다는 사용자의 가전 동선과 실사용 패턴을 기반으로 계획해야 합니다.
✔️ TV 뒤쪽은 셋톱박스, 사운드바, 공유기 등을 고려해 멀티 콘센트로 구성
✔️ 주방은 냉장고, 식기세척기, 인덕션, 전자레인지, 정수기 외에도 핸드블렌더나 전기포트까지 고려해 여유 배치
✔️ 침실은 침대 양쪽에 스마트폰 충전용 USB 콘센트와 무드등 콘센트까지 따로 설계
✔️ 청소기, 로봇청소기, 스타일러 등 위치도 고려해야 합니다
👉 저희 집도 로봇청소기 위치를 주방 하부장 안쪽에, 청소기는 펜트리 안쪽으로 미리 고려해
전기 배선과 공간 설계를 진행해 만족도가 높았습니다.
가전이나 콘센트처럼,
인터넷선과 TV선도 설치 후엔 바꾸기 매우 어려운 배선입니다.
💬 인테리어 업체와 협의할 때, 각 방의 용도와 가전 위치를 미리 알려주면
배선 계획을 세밀하게 잡아줄 수 있습니다.
저는 전체 벽체 배선 도면을 업체와 함께 수정하면서 맞춤 배선으로 마무리했어요.
시스템 에어컨 | 실외기 위치, 배관 루트 | 구조 맞춤형 제품 선택(LG)으로 문제 해결 |
콘센트 | 가전 위치, 생활 동선 | 멀티탭 없이 깔끔한 생활 가능 |
인터넷선 | 각 방 데이터 사용 | 재택근무·스마트TV 모두 안정적 |
TV선 | 거실 벽면 배선 계획 | 벽걸이 설치도 깔끔하게 마무리 |
40평대 아파트 인테리어 입주청소 체크리스트 – 놓치기 쉬운 포인트 7가지 (0) | 2025.07.27 |
---|---|
40평 아파트 인테리어 실제 시공 경험을 바탕으로 도장 VS 벽지 마감 – 실물 비교와 선택 기준 (0) | 2025.07.26 |
40평대 아파트 인테리어 설계도면, 어떻게 봐야 할까? 실사용자 관점에서 꼭 알아야 할 해석법과 실수 방지 팁 (0) | 2025.07.26 |
우리집은 왜 공사기간이 늘어났을까? 40평대 아파트 인테리어 일정 관리 실패와 극복 팁 (0) | 2025.07.25 |
로봇청소기 효돌이 자리 찾기|40평대 아파트 인테리어의 숨은 하이라이트 (0) | 2025.07.25 |